반응형
▶배열(Array)
인덱스,그리고 인덱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로 이루어진 자료구조.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 같은 종류의 데이터들이 순차적으로 저장되어 있다. 인덱스를 이용하면 데이터 접근에 용이하다. 배열 생성 시 사이즈를 정해야 하며 값 삭제 시 중간 중간 빈 공간이 생길 수 있다.
▶연결리스트(Linked List)
각 노드가 데이터와 포인터를 가진다. 포인터에 다음 노드에 대한 참조를 갖는 자료구조이다. 메모리 공간이 연속되지 않는다.
▶스택(Stack)
후입선출(LIFO) 자료구조
▶큐(Queue)
선입선출(FIFO) 자료구조
▶덱(Deque)
양방향에서 삽입 삭제가 가능한 자료구조. 큐와 스택을 합친 형태
▶트리(Tree)
순환이 없는 연결 그래프
▶맵(Map)
키와 값으로 이루어진 자료구조
▶셋(Set)
중복요소를 포함하지 않고 순서가 없으며 한 개의 null만 저장되는 자료구조
▶그래프(Graph)
vertex(정점)과 edge(간선)으로 이루어진 자료구조.
코드로는 2차원 배열을 이용한 인접 행렬 형태
또는 연결된 정점을 리스트로 이어붙이는 인접 리스트 형태로 구현한다.
반응형